본문 바로가기
일상정보

광명 신안산선 공사 붕괴 사고 위치 현장 고립자, 실종 구조 현황

by bluekkat 2025. 4. 11.
반응형

광명 신안산선 공사 붕괴 사고 개요 (2025년 4월 11일)

 

  • 사고 일시: 2025년 4월 11일 오전 8시 37분경
  • 사고 위치: 경기도 광명시 광명사거리역 부근 신안산선 공사 현장
  • 사고 유형: 지하 터널 굴착 공사 중 구조물 붕괴
  • 원인: 터널 상부 구조물의 일부가 무너져 내리며 함몰 발생

 

광명 신안산선 도로가 붕괴된 시청자 제보 영상 캡쳐 사진
출처 YTN
광명 신안산선 도로가 붕괴된 시청자 제보 영상 캡쳐 사진
출처 YTN

 

4월 11일 0시 30분 해당 현장에서는 '투아치(2arch)' 구조로 시공 중인 지하 터널 내부의 가운데 기둥(버팀목) 다수에 균열이 발생했다는 신고가 접수돼 주변 도로 통행이 전면 통제되어 있는 상태였습니다. 이날 오후 3시 13분경 광명 양지사거리 부근 신안산선 복선 전철 제5-2공구 터널 공사 현장에서 붕괴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지하 터널 내부의 균열로 인한 신고접수로 인해 출동한 경찰차
출처 SBS 뉴스

 

인명 피해

  • 현장 작업자: 17명 (근로자)
  • 고립자: 1명
  • 실종자: 1명

현장에 있던 작업자 17명 중 도로 상부에서 안전진단을 하고 있던 5명이 연락 두절 되었으나 이후 3명은 안전이 확인되었고, 굴착기 기사 1명은 고립된 상태로 연락이 닿았으며, 다른 근로자 1명은 여전히 실종된 상태입니다.

 

신안산선 공사 현장 옆 고층 건물에서 촬영된 붕괴사고 현장
출처 SBS 뉴스
신안산선 공사 현장 옆 고층 건물에서 촬영된 붕괴사고 현장
출처 SBS 뉴스
신안산선 공사 현장 옆 고층 건물에서 촬영된 붕괴사고 현장
출처 SBS 뉴스

 

사고 현장 상황

  • 20미터 깊이의 지하 터널이 무너져 내리며, 현장에 있던 근로자들이 매몰
  • 소방당국은 구조견과 탐지 장비를 동원해 구조 작업중
  • 현장 인근 도로 일부 붕괴로 인해 차량 통행 제한 조치 시행

 

공사 배경 – 신안산선이란?

  • 신안산선안산 여의도 서울역을 연결하는 수도권 서남부 교통망 핵심 노선
  • 광명 지역은 1단계 구간으로, 2026년 개통 목표
  • 시공사는 포스코건설 컨소시엄, 발주처는 국토교통부/한국철도시설공단

 

정부 및 당국 발표

  • 국토교통부: “정밀 안전진단 및 전면 재점검 착수”
  • 소방청: “구조 종료 후 2차 붕괴 위험 확인, 작업자 통제 지속”
  • 경기도청: “인근 지역 지반 안전성 평가 시행 예정”
  • 철도시설공단: “해당 구간 공사 전면 중단 및 시공사 재발 방지 대책 요구”

 

사고 원인 추정

(※ 1차 분석 기준, 변동 가능)

  • 지하 구조물의 지반 침하 또는 설계 하중 미달 가능성 제기
  • 물리적 응력 증가로 인한 터널 천장부 파손
  • 수분 침투 및 지반 약화 가능성도 언급됨

 

여파 및 시민 영향

  • 광명사거리역 인근 상권 통제 및 도로 일부 우회
  • 주민 불안 증가, 지하철 및 대중교통 일부 지연
  • 광명시, 피해 접수 및 주민 대상 심리상담센터 운영 개시

 

도로 통제 구간

광명시 양지사거리부터 안양시 호현삼거리까지 약 1km 구간 통제중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