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야구 세이브(Save)란? – 정의, 조건, 규정 완벽 정리

by bluekkat 2025. 4. 2.
반응형

야구 세이브(Save)란? – 정의, 조건, 규정 완벽 정리

1. 세이브(Save)의 정의

세이브(Save)는 야구에서 마무리 투수가 리드를 지켜 팀의 승리를 확정 지었을 때 부여되는 기록입니다.

간단히 말하면, "팀이 이기고 있는 상황에서 경기를 마무리하며 승리를 지켜낸 투수"에게 주어지는 기록입니다.

세이브는 **마무리 투수(Closer)**의 활약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로, 경기의 마지막 순간을 책임지는 투수에게 매우 중요한 기록입니다.

2. 세이브의 기원과 역사

세이브 개념은 1960년대 미국 메이저리그에서 처음 도입되었습니다. 당시에는 구체적인 규정이 없었으나, 1969년 MLB에서 공식 기록으로 인정되면서 현재의 기준이 정립되기 시작했습니다.

  • ✔ 1969년: MLB에서 공식 스탯으로 인정
  • ✔ 1983년: 국제야구연맹(IBAF)에서도 채택
  • ✔ KBO 리그 역시 창설 이후 세이브를 정식 기록으로 운영

이후 세이브는 마무리 투수의 능력과 경기 영향력을 측정하는 데 있어 중요한 지표가 되었으며, 세이브왕 타이틀은 투수 개인 타이틀 중 하나로 자리 잡았습니다.

3. 세이브가 인정되는 조건 (KBO & MLB 공통)

아래 조건 중 하나라도 충족하면 세이브가 인정됩니다.

✔ 세이브 조건 1

자신의 팀이 이기고 있는 상황에서 등판해 마지막 이닝까지 투구하고, 팀이 승리할 경우. 이때 다음 3가지 중 하나 이상 충족해야 함:

  • ✔ 3점 차 이내로 리드된 상황에서 등판하여 최소 1이닝 이상 투구
  • ✔ 주자가 있는 상황에서 등판해 최소 1타자를 상대하고 경기를 마무리
  • ✔ 3이닝 이상을 투구하며 경기를 끝낼 경우, 점수 차와 관계없이 세이브 인정

✔ 세이브 조건 2

세이브는 오직 자신이 승리 투수가 아닐 경우에만 부여됩니다.

  • 선발투수나 구원투수가 승리를 챙긴 경우, 마무리 투수는 세이브를 받을 수 없음
  • 즉, 세이브는 “팀 승리 기여 + 마지막 책임 완수”라는 조건이 충족되어야 함

4. 세이브 관련 용어

✔ 블론 세이브 (Blown Save)

세이브 상황에서 등판한 투수가 리드를 지키지 못하고 동점 또는 역전을 허용한 경우 블론 세이브가 기록됩니다.

블론 세이브는 세이브 실패를 의미하며, 투수의 신뢰도와 직결되는 기록입니다.

✔ 홀드 (Hold)

세이브 이전 이닝에 등판한 중간계투 투수가 리드를 지킨 채로 마무리 투수에게 바통을 넘긴 경우 홀드가 부여됩니다.

즉, 세이브는 마무리의 지표라면, 홀드는 중간계투의 지표입니다.

5. 예시로 이해하는 세이브

📌 예시 1: 3점 차 리드

9회 초, 팀이 5:2로 앞서고 있는 상황에서 마무리 투수가 등판하여 1이닝 무실점으로 마무리 → ✅ 세이브 인정

📌 예시 2: 주자 1,2루 상황에서 등판

9회 초, 팀이 6:4로 앞선 상황에서 무사 1,2루. 마무리 투수가 등판하여 실점 없이 이닝 종료 → ✅ 세이브 인정

📌 예시 3: 4점 차 리드, 3이닝 이상 투구

7회에 등판한 투수가 3이닝을 던져 9회까지 실점 없이 마무리 → ✅ 세이브 인정 (점수 차 상관없이 3이닝 이상 투구 조건 충족)

6. 세이브의 의미와 중요성

야구 경기에서 후반부의 리드는 매우 중요하며, 이를 지켜내는 마무리 투수는 정신적 지주 역할을 합니다.

세이브는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의미가 큽니다.

  • ✔ 팀 승리를 지켜내는 핵심 역할
  • ✔ 심리적 압박을 이겨내야 하는 집중력 필요
  • ✔ 야구 경기의 클라이맥스를 책임지는 중책
  • ✔ 마무리 투수의 능력, 안정성, 신뢰도를 판단하는 핵심 지표

7. 역대 세이브 기록

📌 KBO 세이브왕 (대표 선수)

  • ✔ 오승환 – KBO 역대 최다 세이브 (400세이브 이상)
  • ✔ 정대현, 손승락 등 KBO 대표 마무리 투수들

📌 MLB 세이브 기록

  • ✔ 마리아노 리베라 – 통산 652세이브 (MLB 역대 1위)
  • ✔ 트레버 호프만 – 601세이브
  • ✔ 오승환 – 한미일 통산 500세이브 돌파

8. 결론 – 세이브는 마무리 투수의 자존심

세이브는 단순한 숫자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 이는 팀 승리를 지켜내는 투수의 헌신과 집중력, 그리고 팀에 대한 책임감을 상징합니다.

 

📌 오늘 경기에서 마무리 투수가 세이브 상황을 어떻게 처리하는지를 보면 팀의 뒷문 안정성을 가늠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가장 인상 깊었던 세이브 장면은 무엇인가요? 댓글로 공유해 주세요!

© 2025 야구 전문 블로그 | 무단 복제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