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구

야구 역사상 가장 논란이 많았던 판정 & 오심 사례

by bluekkat 2025. 3. 10.
반응형

 

야구 역사상 가장 논란이 많았던 판정 & 오심 사례

1. 서론

야구는 심판의 판정이 경기의 흐름을 좌우할 수 있는 스포츠입니다. 하지만 때때로 잘못된 판정(오심)이 승패를 결정짓고, 팬들과 선수들에게 큰 충격을 안기기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야구 역사상 가장 논란이 많았던 판정과 오심 사례를 정리해보겠습니다.

2. MLB 역사상 가장 논란이 많았던 오심 사례

✔ 1) 2010년 ‘완벽한 경기’가 사라진 순간 – 짐 조이스 오심

경기 날짜: 2010년 6월 2일

오심 상황: 디트로이트 타이거즈의 투수 아르만도 갈라라가는 9회까지 완벽한 경기를 이어가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마지막 아웃카운트에서 심판 짐 조이스가 1루에서 오심을 선언하면서 MLB 역사상 21번째 퍼펙트 게임이 날아가 버렸습니다.

  • 비디오 판독 결과, 주자는 아웃이었으나 판정 번복이 불가능.
  • 심판 짐 조이스는 경기 후 실수를 인정하며 눈물을 흘렸음.
  • 이 사건 이후 MLB는 비디오 판독 시스템을 강화하는 계기가 됨.

✔ 2) 1985년 월드시리즈 6차전 – ‘돈 덴키ン저 오심’

경기 날짜: 1985년 10월 26일

오심 상황: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와 캔자스시티 로열스의 월드시리즈 6차전에서, 1루심 돈 덴키저의 오심이 승부를 바꿨습니다.

  • 카디널스가 1-0으로 앞선 9회 말, 로열스의 타자 호르헤 오르타가 땅볼을 쳤으나 1루에서 아웃 판정을 받지 않음.
  • 비디오 리플레이를 보면 확실한 아웃이었음.
  • 이 오심으로 인해 로열스는 역전승을 거두었고, 결국 월드시리즈 우승.

이 판정은 MLB 역사상 가장 큰 오심 중 하나로 평가되며, 아직도 팬들 사이에서 논란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3. KBO에서 논란이 많았던 판정 사례

✔ 1) 2020년 KBO 한국시리즈 – ‘2루 베이스 터치 논란’

경기 날짜: 2020년 KBO 한국시리즈

오심 상황: 두산 베어스와 NC 다이노스의 경기에서, 두산 주자가 2루 베이스를 제대로 터치하지 않은 상황이 발생.

  • NC 측이 항의했지만, 심판진은 주자가 정상적으로 베이스를 밟았다고 판정.
  • 비디오 판독에서도 명확한 증거가 부족해 판정 유지.
  • 이 판정으로 인해 NC 다이노스 팬들 사이에서 큰 논란 발생.

✔ 2) 2017년 LG vs KIA 경기 – ‘홈런이 파울?’

경기 날짜: 2017년 5월 20일

오심 상황: LG 트윈스의 박용택이 친 공이 홈런으로 보였지만, 심판이 파울로 판정했습니다.

  • 비디오 판독 결과, 공이 폴대를 맞고 홈런이었음.
  • 하지만 당시 규정상 명확한 판독이 어렵다는 이유로 판정 번복되지 않음.
  • 이 사건 이후, KBO는 비디오 판독 시스템을 더 정밀하게 보완하기로 결정.

4. 오심을 줄이기 위한 기술 발전

✔ 1) 비디오 판독 시스템 도입

MLB와 KBO는 오심을 줄이기 위해 비디오 판독 시스템(Instant Replay)을 도입했습니다.

  • MLB는 2014년부터 모든 판정에 대해 비디오 판독 확대.
  • KBO도 2017년부터 판독 시스템을 도입하여 정확성 향상.

✔ 2) 로봇 심판 (Automated Ball-Strike System, ABS)

최근에는 로봇 심판(ABS) 기술이 도입되어 볼·스트라이크 판정을 보다 정확하게 하고 있습니다.

  • MLB는 마이너리그에서 실험적으로 도입 중.
  • KBO도 미래 도입 가능성을 검토 중.

5. 결론 – 오심도 야구의 일부?

야구에서 오심은 경기의 일부로 받아들여지기도 하지만, 중요한 순간에 발생하는 오심은 승패를 결정짓는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 MLB & KBO는 비디오 판독 시스템을 도입하여 오심을 줄이고 있음.

✔ 로봇 심판 등 기술 발전으로 보다 정확한 판정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음.

📌 여러분이 기억하는 가장 논란이 많았던 야구 오심 사례는 무엇인가요? 댓글로 의견을 남겨주세요! ⚾🔥

© 2025 야구 전문 블로그 | 무단 복제 및 전재를 금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