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야구 FA(자유계약선수) 제도 – 개념부터 규정, 역사, 사례까지 총정리
1. FA(자유계약선수)란?
FA(Free Agent, 자유계약선수)란, 일정 기간 동안 팀과 계약을 맺고 뛰었던 선수가 **계약이 종료된 후 원소속팀과의 구속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다른 팀과 계약할 수 있는 선수**를 의미합니다.
FA 제도는 선수들이 자신의 가치를 평가받고 더 나은 조건으로 계약을 체결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2. KBO와 MLB의 FA 규정 비교
항목 | KBO (한국프로야구) | MLB (메이저리그) |
---|---|---|
FA 자격 취득 조건 | 고졸: 9시즌 / 대졸: 8시즌 (등록일수 145일 이상) | 메이저리그 6년 이상 경력 (40인 로스터 포함) |
FA 등급제 | A, B, C등급 (연봉 순위에 따라 차등 보상) | 퀄리파잉 오퍼 제도 적용 |
FA 계약 기간 | 최대 4년 | 최대 10년 이상 가능 |
보상 규정 | 등급별로 보호 선수 지정 및 보상금 지급 | 퀄리파잉 오퍼를 받은 선수는 보상 픽 발생 |
KBO와 MLB의 FA 규정에는 차이가 있으며, 특히 FA 자격 취득 기간, 계약 규모, 보상 규정이 다릅니다.
3. KBO FA 제도 – 세부 규정
✔ 1) FA 자격 취득 기준
KBO에서 FA 자격을 얻기 위해서는 아래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 **고졸 입단 선수**: 9시즌 이상 등록
- ✔ **대졸 입단 선수**: 8시즌 이상 등록
- ✔ 1군 등록일수 145일 이상 시즌 포함
✔ 2) FA 등급제
FA 선수를 보상하는 방식은 연봉 순위에 따라 A, B, C등급으로 구분됩니다.
- ✔ **A등급**: 연봉 전체 선수 기준 상위 3위 이내
- ✔ **B등급**: 상위 4~10위
- ✔ **C등급**: 10위 밖 선수
✔ 3) FA 보상 규정
FA 선수를 영입한 팀은 원소속팀에 다음과 같은 보상을 해야 합니다.
- ✔ **A등급**: 보호 선수 20명 + 연봉 200% or 연봉 300%
- ✔ **B등급**: 보호 선수 25명 + 연봉 100% or 연봉 200%
- ✔ **C등급**: 연봉 150%만 보상
4. MLB FA 제도 – 세부 규정
✔ 1) FA 자격 조건
메이저리그에서 FA가 되려면 **메이저리그 서비스 타임 6년 이상**이 필요합니다.
✔ 2) 퀄리파잉 오퍼 (QO) 제도
FA 선수 중 일부는 원소속팀으로부터 퀄리파잉 오퍼(1년 계약)를 받을 수 있으며, 이를 거부하고 FA가 되면 보상픽이 발생합니다.
5. KBO & MLB FA 계약 사례
✔ 1) KBO 역대 최고 FA 계약
- ✔ **이대호 (롯데, 2017년)** – 4년 150억 원
- ✔ **양의지 (두산 → NC, 2019년)** – 4년 125억 원
- ✔ **나성범 (KIA, 2022년)** – 6년 150억 원
✔ 2) MLB 역대 최고 FA 계약
- ✔ **마이크 트라웃 (LAA, 2019년)** – 12년 4억 3천만 달러
- ✔ **무키 베츠 (LAD, 2020년)** – 12년 3억 6천500만 달러
- ✔ **애런 저지 (NYY, 2022년)** – 9년 3억 6천만 달러
6. 결론 – FA는 선수와 구단 모두에게 중요한 제도
FA 제도는 선수들이 자유롭게 팀을 선택할 수 있도록 보장하면서도, 구단들이 전력 보강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 ✔ KBO에서는 **FA 등급제와 보상 규정**이 존재
- ✔ MLB는 **FA 시장이 활발하며 초대형 계약이 자주 발생**
📌 여러분은 KBO FA 제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댓글로 의견을 남겨주세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