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봉별 실수령액 계산, 현실적으로 얼마나 받을까?
회사와 연봉 계약을 맺을 때, 가장 많이 듣는 질문 중 하나는 "연봉 5천이면 실수령액은 얼마예요?"라는 말입니다.
연봉이란 세전(稅前) 소득, 즉 세금을 떼기 전 금액입니다. 하지만 실제로 통장에 찍히는 돈은 세후 실수령액이기 때문에,
연봉만 가지고는 ‘진짜 내가 받는 돈’을 정확히 알기 어렵습니다.
이 글에서는 연봉별 실수령액 계산법과 함께 월급에서 빠지는 세금 항목, 연봉 구간별 실제 수령액 예시, 그리고 연말정산까지 차근차근 알려드릴게요.
✅ 실수령액이란?
실수령액이란 말 그대로 ‘실제로 수령하는 금액’입니다.
월급에서 세금과 4대 보험 등을 제외한 금액이죠.
즉, 연봉 = 내 수입이 아니라,
실수령액 = 내 진짜 월급이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 월급에서 빠지는 항목들
직장인의 월급에서는 다음과 같은 항목들이 공제됩니다:
- 국민연금 (4.5%)
- 노후를 위한 의무 보험
- 건강보험 (3.545%) + 장기요양보험 (건강보험료의 약 12.81%)
- 병원 이용 시 할인 혜택
- 고용보험 (0.9%)
- 실직 시 실업급여 수급 자격
- 소득세 + 주민세
- 소득에 따라 누진 적용 (연봉이 높을수록 많아짐)
이 항목들을 모두 더하면 연봉의 약 15~17% 수준이 빠지게 됩니다.
✅ 연봉별 실수령액 예시
아래는 1인 가구, 세전 연봉 기준, 월 실수령액의 대략적인 예시입니다.
연봉 | 월 세전 금액 | 월 공제액 | 월 세후 금액 | 연 실수령액 |
3,000만 원 | 월 세전 250만 원 | 월 공제 37만 원 | 월 세후 213만 원 | 연 실수령액 2,560만 원 |
3,500만 원 | 월 세전 291만 원 | 월 공제 43만 원 | 월 세후 248만 원 | 연 실수령액 2,970만 원 |
4,000만 원 | 월 세전 333만 원 | 월 공제 50만 원 | 월 세후 283만 원 | 연 실수령액 3,400만 원 |
4,500만 원 | 월 세전 375만 원 | 월 공제 60만 원 | 월 세후 319만 원 | 연 실수령액 3,830만 원 |
5,000만 원 | 월 세전 416만 원 | 월 공제 75만 원 | 월 세후 340만 원 | 연 실수령액 4,080만 원 |
5,500만 원 | 월 세전 458만 원 | 월 공제 80만 원 | 월 세후 378만 원 | 연 실수령액 4,540만 원 |
6,000만 원 | 월 세전 500만 원 | 월 공제 90만 원 | 월 세후 410만 원 | 연 실수령액 4,920만 원 |
6,500만 원 | 월 세전 541만 원 | 월 공제 100만 원 | 월 세후 441만 원 | 연 실수령액 5,290만 원 |
7,000만 원 | 월 세전 583만 원 | 월 공제 120만 원 | 월 세후 470만 원 | 연 실수령액 5,500만 원 |
8,000만 원 | 월 세전 666만 원 | 월 공제 135만 원 | 월 세후 535만 원 | 연 실수령액 6,400만 원 |
1억 원 | 월 세전 833만 원 | 월 공제 180만 원 | 월 세후 650만 원 | 연 실수령액 7,800만 |
참고: 위 금액은 간이세액표 기준이며, 부양가족 수, 비과세 수당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대략적인 금액 입니다.
✅ 실수령액은 왜 사람마다 다를까?
같은 연봉인데도 누군가는 월급을 더 많이 받기도 합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부양가족 수: 인적공제로 소득세 절세 가능
- 비과세 수당 포함 여부: 식대·교통비 등이 비과세로 빠지면 실수령액 증가
- 회사 복지: 어떤 회사는 4대보험 일부를 지원하기도 함
- 세금 계산 방식: 정규직, 계약직, 프리랜서 모두 다름
따라서 나와 친구의 연봉이 같더라도, 실수령액은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 연말정산과 실수령액
우리가 매달 월급에서 공제되는 세금은 ‘예상세금’입니다.
그리고 매년 1~2월에 연말정산을 통해 실제 세금을 계산하게 되죠.
- 많이 낸 경우 → 환급 (13월의 월급)
- 덜 낸 경우 → 추가 납부
연말정산을 통해 최종 실수령액이 정리되는 셈입니다.
결혼 여부, 자녀 수, 의료비, 교육비 등 각종 공제항목에 따라
세액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실수령액 계산기 추천
보다 정확한 실수령액을 알고 싶다면 아래 사이트들을 활용하세요:
이용 방법은 간단하며, 연봉과 가족 수만 입력하면 됩니다.
✅ 마무리 요약
- 실수령액은 세전 금액에서 세금과 공제를 뺀 값
- 연봉이 높을수록 세율이 올라 차감액이 커짐
- 연말정산을 통해 환급 또는 추가 납부 가능
- 연봉 협상할 땐 세전/세후 금액 꼭 비교하기
연봉이 같아 보여도, 실제로 받는 실수령액은 개인별로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소득세, 4대 보험, 비과세 항목, 연말정산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이 글을 참고해 자신의 급여 구조를 이해하고, 재무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실수령액은 연봉이 전부가 아닙니다! 더 중요한 건 ‘얼마를 쓰고, 얼마나 남기는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