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야구에서 '세이브'란 무엇인가요?
✔️ 한 줄로 설명하면?
세이브(Save)는 팀이 이기고 있는 상태에서 등판한 마무리 투수가
상대 팀에게 역전을 허용하지 않고 승리를 지켜냈을 때 주는 기록이에요.
🧠 세이브를 이해하는 아주 쉬운 방법
🎯 상황 예시로 설명해볼게요
✅ 예시 1 - 가장 대표적인 세이브 상황
- 팀 A가 팀 B를 상대로 9회 말까지 3:1로 이기고 있어요.
- 이제 마지막 1이닝만 남았고, 이걸 잘 막으면 이겨요.
- 그래서 마무리 투수가 나와요.
- 이 투수가 상대에게 점수를 안 주고 무사히 3아웃을 잡고 경기를 끝냈어요.
- 그러면 이 투수는 ‘세이브’를 기록해요!
👉 이건 가장 기본적인 세이브 상황이에요.
이기고 있을 때 마지막에 나와서 끝까지 지켰다 = 세이브!
🎯 그럼 세이브는 어떤 조건일 때만 기록되나요?
세이브 조건은 크게 3가지 중 하나만 만족하면 됩니다.
✔️ 조건 ① 3점 차 이내로 앞서 있는 상태에서 나와서 1이닝 이상 던져서 이기면 세이브
- 예: 3:0, 4:2, 5:3처럼 3점 차 이내에서 9회에 투수가 나와서 3아웃 잡고 이기면 세이브
✅ 예시
- 팀이 4:2로 이기고 있는데 9회에 마무리 투수가 나옴
- 점수 안 주고 경기를 마무리함
➡️ 세이브 인정!
✔️ 조건 ② 주자가 나가 있는 상황에서 등판해서 리드를 지키면 세이브
- 예: 5:2로 이기고 있는데 상대 팀이 1, 2루 주자 있음
- 투수가 나와서 실점 없이 마무리함
➡️ 점수 차는 3점 이상이지만, 위기 상황을 잘 막았기 때문에 세이브 가능
✅ 예시
- 팀이 6:2로 앞서 있는데, 무사 1·2루 위기
- 투수가 나와서 3타자 막고 승리 지킴
➡️ 세이브 인정!
✔️ 조건 ③ 점수 차 상관없이 ‘3이닝 이상’을 혼자 던지고 끝냈으면 세이브
- 이건 투수가 7회에 나와서 7~9회까지 혼자 다 던지고 끝낸 경우에 해당해요
✅ 예시
- 팀이 8:3으로 이기고 있어요 (5점 차)
- 투수가 7회부터 나와서 3이닝 동안 점수 안 주고 마무리
➡️ 점수 차와 관계없이 3이닝 넘게 잘 막았으니까 세이브 인정!
❌ 세이브가 안 되는 경우
- ⚠️ 투수가 경기를 마무리하긴 했지만, 점수 차가 너무 많이 났고 1이닝도 안 던졌다면 세이브 X
- ⚠️ 이미 이긴 투수로 기록된 경우는 세이브가 안 됩니다
- ⚠️ 리드한 상태로 나왔지만, 동점이 되거나 역전당하면 세이브 실패 (블론 세이브)
🧱 세이브는 왜 중요할까요?
- 경기를 이기고 있어도 끝까지 방심하면 역전당할 수 있어요.
- 그래서 경기 끝판왕인 '마무리 투수'가 나와서 안전하게 마무리해주는 게 중요해요.
- 세이브는 그 마무리 투수의 능력을 보여주는 아주 중요한 기록이에요.
🏆 실제 유명한 세이브 투수
- KBO 대표 마무리: 오승환 (500세이브 이상, 한·미·일 통합 레전드)
- MLB 대표 마무리: 마리아노 리베라 (통산 652세이브, 역대 1위)
🔁 정리해볼게요!
조건세이브 인정 여부
3점 차 이내에서 마지막 이닝 던짐 | ✅ 세이브 |
주자 있는 상황에서 등판, 리드 지킴 | ✅ 세이브 |
점수 차 관계없이 3이닝 이상 던짐 | ✅ 세이브 |
점수 차가 커서 긴장감 없음 | ❌ 안 됨 |
투수가 이긴 승리투수로 기록됨 | ❌ 안 됨 |
리드 못 지키고 역전 허용 | ❌ 세이브 실패 (블론세이브) |
💬 마무리
세이브는 *팀이 이기고 있는 상황을 끝까지 잘 지켜낸 투수에게 주는 칭찬 스탯이라고 생각하면 돼요!
다음에 야구 중계에서 "9회, 마무리 투수 등판! 세이브 상황입니다!" 라는 말을 들으면
"아! 지금 잘 막으면 세이브 기록 생기겠구나!" 하고 이해하실 수 있을 거예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