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정보

근로자의 날 수당 계산법 초간단 정리 | 내 월급 제대로 챙기는 방법

by bluekkat 2025. 4. 29.
반응형

검정색 배경에 근로자의 날 수당 계산법이라고 흰색으로 적힌 썸네일

근로자의 날 수당 계산법 초간단 정리

✅ 근로자의 날 수당, 어떻게 계산하나요?

근로자의 날(5월 1일)은
법정 공휴일이 아니라 특별한 유급휴일입니다.

따라서,

  • 쉬면 원래 월급 그대로 받습니다.
  • 일하면 추가수당(휴일근로수당)을 반드시 받아야 합니다.

✅ 근로자의 날 수당 계산 기본 공식

상황 받을 수당
쉬었을 때 통상임금 100% (기본급)
일했을 때 통상임금 100% + 추가로 통상임금 50% (총 150%)

 

정리하면:

쉬었다 = 월급 그대로
일했다 = 월급 그대로 + 휴일근로수당(50%) 추가

✅ 실제 계산 예시

📌 예시1) 쉬었을 때

  • 월 기본급: 200만원
  • 근로자의 날 정상적으로 휴식

👉 이 경우 별도 수당 없이
월급 200만원 그대로 지급됩니다.

 

📌 예시2) 근로자의 날 일했을 때

  • 월 기본급: 200만원
  • 1일 통상임금 계산 = 200만원 ÷ 209시간(법정 월소정근로시간 기준)
약 9,569원/시간

 

근로자의 날 하루 8시간 일했다면,

구분 계산 금액
기본수당 9,569원 × 8시간 76,552원
추가수당(50%) 4,784원 × 8시간 38,272원

총 지급액:
76,552원 + 38,272원 = 114,824원 추가

▶️ 원래 월급(200만원) + 114,824원 추가 지급


✅ 더 간단한 요약 방법

근로자의 날에 일했다면
하루치 급여의 150%를 지급받는다고 기억하면 됩니다.

즉, 평소 하루 급여가 8만원이면
근로자의 날 근무 시 12만원(1.5배) 받게 됩니다.


✅ 추가 주의사항

  • 연장근로가 겹치면 더 추가!
    (예: 근로자의 날 8시간 초과 근무시, 추가로 연장근로수당 발생)
  • 대체휴일 합의 시 추가수당 지급은 면제됩니다.
  • 5인 미만 사업장도 수당 지급 의무 있습니다.

📋 요약표: 근로자의 날 수당 한눈에 보기

구분 수당 지급 내용
정상 휴무 월급 정상 지급 (추가 없음)
근무 시 통상임금 100% + 추가 50% (총 150%) 지급
추가 연장근로 별도 연장근로수당 추가 발생 가능

 

✨ 마무리

근로자의 날은
그냥 쉬는 날이 아니라, 돈이 걸린 중요한 날입니다.

"쉬었으면 월급, 일했으면 1.5배 수당!"
이 공식만 기억하세요.

근로자의 권리를 지키는 첫걸음은
내 수당을 정확히 아는 것입니다.
오늘부터 내 권리, 내 월급 제대로 챙기세요! 🙌


 

2025.04.29 - [일상정보] - 근로자의 날 위반 사례와 실제 판례 모음 | 사업주가 절대 해서는 안 될 일

 

근로자의 날 위반 사례와 실제 판례 모음 | 사업주가 절대 해서는 안 될 일

근로자의 날 위반 사례와 실제 판례 모음✅ 근로자의 날 위반, 실제로 많을까?생각보다 많습니다.특히 소규모 사업장, 서비스업, 제조업 현장에서는근로자의 날 규정을 제대로 알지 못하거나,알

bluekkat.co.kr

 

2025.04.29 - [일상정보] - 5인 미만 사업장인데 근로자의 날 쉬나요?

 

5인 미만 사업장인데 근로자의 날 쉬나요?

근로자의 날, 5인 미만 사업장도 쉬어야 할까?✅ 결론부터 말하면👉 5인 미만 사업장도 근로자의 날은 "쉬어야 합니다."근로자의 날은 근로기준법에 따르지 않고,별도의 '근로자의 날 제정에 관

bluekkat.co.kr

 

2025.04.29 - [일상정보] - 근로자의 날에 쉬지 못하면? 사업주가 받는 처벌과 근로자 권리 총정리

 

근로자의 날에 쉬지 못하면? 사업주가 받는 처벌과 근로자 권리 총정리

근로자의 날에 쉬지 않으면? 사업주 처벌과 근로자 권리 쉽게 정리 ✅ 근로자의 날은 무조건 쉬는 날인가요?네, 맞습니다!5월 1일 근로자의 날은법정 공휴일은 아니지만,근로기준법과 별도로 제

bluekkat.co.kr

 

2025.04.29 - [일상정보] - 근로자의 날에도 쉬지 않는 업종 총정리 | 정상근무 가능한 경우 완벽 분석

 

근로자의 날에도 쉬지 않는 업종 총정리 | 정상근무 가능한 경우 완벽 분석

근로자의 날에도 정상근무하는 업종 정리✅ 원칙: 근로자의 날은 '모든 근로자'가 쉬어야 한다근로자의 날(5월 1일)은민간기업에 종사하는 모든 근로자에게 유급휴일로 주어져야 합니다.그러나

bluekkat.co.kr

 

 

 

반응형